
토목, 환경과 관련된 보고서 등 여러 보고서를 작성할 때, 지질에 대한 내용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물론, 내용적으로 간단하게만 들어가는 보고서도 있을 것이고, 아주 자세하게 넣어야 하는 보고서도 있을 것이다. 필자의 경우 학사 졸업장만,,,가지고 있으므로 아주 자세하게 지질도를 보고 공부하고 하지는 않았다,,,하하하 그러므로 ㅎ 간단한 보고서에서 지질도를 어떻게 넣는지, 도폭설명서는 무엇인지, 등등 아는 것만 ㅎ 알려주려고 한다. 이것도 물론,,, 이 내용이 들어간 보고서를 작성하는 회사에 취업을 한 사람이라면, 한 두시간? 30분? 만 설명 들으면 할 수 있는 것이므로 ㅎ 도움이 안되는 설명 일수도 있으며, 그런사람들은 뒤로가기 버튼을 눌러주자 ㅎ 자 이제 시작해보자! 일단 네이버나 구글 ..

캐드에서 원을 그리는 방법은 다들 아실거라고 생각함. 단축키 c를 사용하면 circle이 입력되어 원을 만들 수 있게 되죠! 하지만 circle 보다 copy를 많이 사용하므로, c 단축키를 먼저 copy로 바꿔보도록 합시다! 상단에 Manage > Customization > Edit Aliases 를 선택해 줌! 그러고나면 acad.pgp 파일이 메모장으로 열릴거임! 여기서 Ctrl + F 를 사용해서 Circle을 찾아줌! Circle을 찾았으면, 앞에 단축키로 C가 설정되어있는 걸 볼 수 있음,,,, C,,,, 이 씨를 CI로 바꿔줌! 그러고나서 이제 자주쓰는 Copy를 찾아봄,, 애는 또,,, CO로 되어있음,,, 이걸 C로 바꿔줌! 그러고나서 Ctrl + S 로 저장 ㄱㄱㄱㄱㄱㄱ~ 그러면 메모..

오랜만에 부모님이랑 나들이를 갔다. 원래 다른 곳에 가려고 했는데, 어쩌다보니 가게된 원주시 부론면,,, 원주에 살면서 단한번도 가본적 없는 곳이었다. 부론면은 한산하면서 나름 시골의 향수가 느껴지는 곳인것 같았다. 시골이라고 비하,,이런게 아니라 느낌이 좋았다! 도착하니 마침 점심이라 눈앞에 보이는 막국수 집에 들어갔다. 날이 더워서,,, 날이 좋아서,,,ㅎ 시원한 막국수가 먹고싶어서 들어갔는데,, 사람이 꽉차 있었다. 번호표를 받고 30분 정도 기다렸다가 들어가게 되었다... 역시 맛집은 어디에나 존재하는듯,, 막국수는 바로 흡입하느라 못찍음 ㅎ 그리고 겉은 허름하지만 기계가 서빙을 해줌 ㅎㅎ 점심을 먹고 어디를 갈까 하다가 동화마을에 가보기로 함. 근데 동화마을 가는길에 느낌 있게? 있는 정좌가 보..

백두산이 분화하면 어떤 화산성 홍수, 화산이류, 화쇄류의 예상 피해 범위화산성 홍수, 화산이류, 화쇄류의 예상 피해 범위자연재해가 일어날 수 있을까요?? 화산이 폭발하면 일어날 수 있는 화쇄류에 의한 피해, 화산재, 화산가스, 용암, 지진 등이 일어날 것입니다. 또한 백두산은 칼데라호를 가지고있어 칼데라 호수의 붕괴로인한 홍수가 일어날 것이고, 칼데라호에 있는 물에의해 일반 화산보다 더 큰 폭발이 일어날 것이라 예상이 됩니다ㅠ 칼데라 호의 붕괴로 인한 홍수를 화산성 홍수라고 하고, 일반적으로 화산성 홍수는 화쇄류를 동반하므로 집중호우에 의한 단순한 홍수와 달리 점성과 밀도가 큰 콘크리트와 비슷하게 액체상태로 움직이다가 멈추면 고체상태가 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경사와 하천 이동과정 중에 암석과 식생 침식을..

최근에 백두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백두산이 폭발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들 때문인데용~ 그래서 조금 알아봤습니다. 중국 천지 화산 관측소(Tianchi Volcano Observatory, TVO) 및 장백산 화산 관측소(Chang baishan volcano Observatory, CHVO)는 2002~2005년 사이 화산성 지진활동, 지표의 변위, 지열지대 온천수의 화학성분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보고 하였다.(Xu et al., 2012, Wei, Liu, Gill, 2013). 화산성 미소지진의 경우 한 달에 72회의 지진활동이 감지되었으며, 2003년 11월에는 최고치인 243회의 지진활동이 감지되었다. 수준 측량 결과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백두산의 성인(생성 기작)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아쉽게도요...) 성인과 관련된 두가지 가설이 있습니다. 1. BMW(Big Mantle Wedge) 가설 이 가설은 일본 도호쿠대 지오 교수팀이 제안을 한 가설이라고 합니다. 해양판이 섭입되는 과정에서 맨틀이 상승하여 백두산이 생성되었다는 가설입니다. 아래 이미지를 보고 설명을 하자면, 해양판 이었던 태평양판이 상부맨틀의 아랫부분까지 섭입을 합니다. 섭입 후에 전이대에서 부터 마그마가 만들어져 상부맨틀의 물질과 함께 용융되어 마그마가 형성되고, 암석권으로 상승하여 백두산이 형성되었다는 가설입니다. 실제로 전이대인 태평양판은 지진파 토모그래피로 상부맨틀 중 연약권이 있는 깊이 500km~600km까지 뻗어있다는 것을 확인 했다고 합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수치지도
- 광주시
- 원주 맛집
- 샤브샤브
- 경사분석
- 강릉맛집
- 표고경사
- ArcMap
- shp to dwg
- 분석
- 막국수
- 캐드 이미지
- image
- layon
- 원주맛집
- ArcGIS
- 백두산 분화
- 단계동맛집
- Autocad
- 경사
- 백두산 폭발
- align
- 표고
- 백두산
- layiso
- scale
- GRS80
- 한글문서
- 맛집
- 단축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