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반응형

표고분석2는

여기

 

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자 앞에 내용까지 모두 되었다면,

Raster를 만들어 줄 것이다.

 

우리가 앞에서 만든 것은 TIN 이다!

TIN을 Raster로 만들어주려면 TIN to Raster를 찾아서 실행해주면 된다!

ArcToolbox > 3D Analyst Tools > Conversion > From TIN > TIN to Raster를 선택해주면 된다!

 

TIN to Raster를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일 것이다.

 

가장 상단에 보이는 Input TIN에는 방금 만든 tin_g를 넣어준다!

그리고 Output Raster 오른쪽 폴더모양을 클릭해서

폴더위치를 정하고, 파일이름을 정해준다!

나는 raster_g로 해주겠다!

그다음 Output Data Type(optional), Method(optional)은 Pass

Sampling Distance(optional) CELLSIZE 숫자 적힌걸로 바꿔준다.

CellSize는 말그대로 CellSize이다.

나는 일단 1로 설정해서 해보겠다(뒤에 숫자 그냥 지우고 1 쳐주면됨).

 

설정을 하면 다음 사진처럼 된다!

 

그리고 ok를 눌러주면 설정한 레이어이름인 raster_g가 생긴걸 볼 수 있다.

다음 사진처럼 말이다.ㅎㅎ

 

tin_g와 raster_g를 비교 해보고

raster_g에서 어두운 부분이

raster_g에서 표고가 낮은 부분인지 확인해 준다!

(표고가 낮은 곳일 수록 검은색이 짙어지는지 확인 ㄱㄱ)

 

확인이 되었으면 raster reclassify를 해주어야 한다!

ArcToolbox > 3D Analyst Tools > Data Management > Raster Reclass > Reclassify 실행해주면 된다!

Input raster에 방금 만든 raster_g를 넣어주면,

밑에가 자동으로 채워지는데, Reclass field는 Pass

Reclassification 에서 오른쪽에 Classify...을 눌러준다

 

그러면 어디선가 본적있는 Classification 창이 뜨는데,

tin_g 속성에서 설정했던 것처럼 

 

[ArcMap] 표고 및 경사분석(3)(표고분석2)

이거 에 이어서 표고분석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다. Polyline과 Polygon Layers를 꺼주고 gon이라는 레이어 밑에 녹색으로 되어있는 박스를 더블클릭하면 Symbol Selector라는 것이 뜨는데, 다음처럼 설정해

withwoong.tistory.com

 

Method: Defined Interval 로 설정해주고 Interval Size : 10 을 설정해준다

Interval Sizetin_g랑 같게 해주자,,

ok를 눌러주면 왼쪽셀이 변경되어 있을것이다.

tin_g의 분류와 똑같이!

 

그리고 Output raster저장할 위치와 reclassify한 이름을 정해서 적어주고,

ok 눌러주면 다음 사진처럼된다!

나는 re_g 로 해주었다

Classification 설정
Reclassify 설정

 

이 상태에서 ok를 눌러주자!

그러면 re_g 레이어가 생겨있을 것이다!

또 tin_g 레이어를 꺼주면 re_g 의 색으로 바뀌어 있을 것이다!

 

tin_g의 범례와 re_g의 범례의 개수를 비교해서

같은지 확인해준다

맞으면 성공적으로 설정이 된 것이다!

 

 이제 re_g 레이어를 더블클릭 해서 Symbology를 확인해보면,

범례에 해당하는 색의 셀 개수를 확인 할 수 있다!

이걸로 대상지에서 표고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내가 보여준 위 사진에서보면,

tin_g 레이어 표고 180~190

re_g 레이어 1번과 같으며, 1의 개수 9,349개 이다!

 

tin_g 레이어 표고 190~200은

re_g 레이어 2번과 같으며, 2의 개수는 12,500개 이다!

 

그러므로 표고 180~190, 190~200,,,,,,270~280 에 해당하는 각 범위의 분포를 구할 수 있다

re_g 에서 1~10의 셀 개수를 모두 더하면 대상지 면적이 되므로,

각 범위의 개수를 대상지 면적으로 나누어 주면 %를 구할 수 있다!

 

흠,,

 

설명이 잘 되었는지 알수는 없지만 ㅎ

 

오늘은 여기까지 ㅎ

 

다음편,,,

 

- 끝 -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